티스토리 뷰

반응형

 

2025년 근로장려금,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미리 알 수 있다면?
소득은 얼마까지 인정될까, 내가 맞벌이인지 홑벌이인지도 헷갈리신가요?
지금 바로 근로장려금 금액 산정 방식과 조회 방법을 확인하고 실수 없이 신청하세요!

 

 

📌 근로장려금 지급액, 어떻게 정해질까?

 

근로장려금은 단순한 소득 기준이 아니라 가구 유형 + 총소득 + 재산 + 신청 시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산정됩니다.
총 3단계인 정률 구간 → 정액 구간 → 감액 구간으로 나뉘며, 소득이 높아질수록 감액되는 구조입니다.

 

📌 2025년 가구 유형별 최대 지급액

 

가구 유형 총소득 기준 최대 지급액
단독가구 2,200만 원 미만 165만 원
홑벌이 가구 3,200만 원 미만 285만 원
맞벌이 가구 4,400만 원 미만 330만 원

 

📌 가구 유형 어떻게 나뉘나?

 

  • 단독가구: 배우자, 부양자녀, 직계존속 없음
  • 홑벌이 가구: 배우자 연소득 300만 원 미만 + 부양자녀 또는 부모와 동거
  • 맞벌이 가구: 신청자와 배우자 모두 연소득 300만 원 이상

 

📌 소득에 따른 산정 방식 요약

 

총급여 기준에 따라 지급액은 다음과 같이 산정됩니다.

 

가구 유형 정률 구간 정액 구간 감액 구간
단독가구 400만 원 미만 400~900만 원 900~2,200만 원
홑벌이 가구 700만 원 미만 700~1,400만 원 1,400~3,200만 원
맞벌이 가구 800만 원 미만 800~1,700만 원 1,700~4,400만 원

 

📌 구간별 계산식 (예시 포함)

 

✅ 단독가구 – 총급여 1,500만 원

165 - [(1,500 - 900) × (165 ÷ 1,300)] ≈ 88.8만 원 지급

 

✅ 홑벌이 가구 – 총급여 2,800만 원

285 - [(2,800 - 1,400) × (285 ÷ 1,800)] ≈ 63.4만 원 지급

 

✅ 맞벌이 가구 – 총급여 3,800만 원

330 - [(3,800 - 1,700) × (330 ÷ 2,700)] ≈ 73.4만 원 지급

 

📌 지급 하한선 및 감액 조건

 

  • 15,000원 미만: 지급 제외
  • 기한 후 신청: 5% 감액
  • 재산 1.7억 ~ 2.4억 원: 지급액의 50% 감액
  • 국세 체납: 최대 30%까지 압류 가능

 

📌 예상 지급액 조회 방법

 

① 홈택스 (PC)

  • 홈택스 → [근로·자녀장려금 신청] → [계산해보기]
  • 가구 유형, 소득, 재산 정보 입력 → 예상 지급액 조회

② 손택스 (모바일 앱)

  • 앱 실행 후 로그인 → [계산해보기]
  • 동일하게 가구 유형과 총급여 입력 → 자동 계산

📌 Q&A

 

Q1. 지급 예상액보다 적게 나올 수 있나요?
A. 기한 후 신청(5% 감액), 재산 1.7억 초과(50% 감액), 자녀세액공제 중복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
 

Q2. 정확한 금액은 언제 알 수 있나요?
A. 신청 후 '심사진행상황' 메뉴에서 확인 가능하며, 국세청 심사 결과에 따라 확정됩니다.

 

Q3. 조회가 안 되거나 오류가 날 땐?
A. 크롬 또는 엣지 브라우저로 접속하고, 인증서를 갱신하거나 국세청 1566-3636으로 문의하세요.

 

마무리 요약

 

  • ✅ 단독 최대 165만 원 / 홑벌이 285만 원 / 맞벌이 330만 원
  • ✅ 소득 구간별로 정률-정액-감액 계산
  • ✅ 홈택스·손택스에서 ‘계산해보기’로 예측 가능
  • ✅ 감액 요인(재산, 기한 후 신청, 체납 등) 반드시 확인

 

근로장려금은 정확히 알고 신청해야 손해 보지 않습니다.
총소득, 가구 유형, 재산 내역만으로 지금 바로 예상 금액 확인해 보세요!

반응형